
[Q뉴스]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는 12월 15일 오후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녹색교통 콘퍼런스’를 공동 개최할 계획이다.
콘퍼런스에서는 ‘탄소중립 교통 실현을 위한 당면과제’에 대한 이규진 아주대학교 교수의 기조 발제를 시작으로 철도·항공·해운의 친환경 전환과 교통수요 관리 등에 대한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박한선 해사산업연구실장은 ‘친환경 선박 도입을 위한 추진전략’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다.
기후 모범국가로서 국제해운 탈탄소를 주도하기 위한 친환경 선대로의 전환의 필요성과 친환경 선박 기술 및 미래연료 인프라 확충 등을 위한 전략을 제시할 예정이다.
한국교통연구원 노승원 부연구위원은 ‘항공부문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추진과제’를 주제로 항공기는 단기간에 전기·수소 항공기로 전환될 수 없는 만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지속가능한항공유 활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탄소중립연료인 지속가능항공유의 생산 및 공급망 구축, 그리고 탄소중립 공항건설 및 운영 전략을 제안할 예정이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이재영 책임연구원은 ‘탄소중립을 위한 철도분야 추진전략’에 대한 발표에서 전철화 확대 및 무탄소 철도 등 철도인프라 저탄소화, 철도시설 저탄소 건설·관리 등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기 위한 철도분야 추진전략을 제시할 예정이며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교통수요 관리방향’에 대해 한국교통연구원 박상우 탄소중립연구팀장은 현재의 교통수요관리를 위한 다양한 정책 지표를 진단하고 대도시권 광역교통망 확충 등 대중교통 활성화의 필요성을 설명한다.
아울러 이용자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교통수단 도입 방안 등을 제안할 예정이다.
이어질 정책토론에서는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국가철도공단,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솔루티스 등이 참여해, 녹색교통으로의 전환을 위한 과제들을 논의하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시할 예정이다.
콘퍼런스를 주최한 탄녹위의 김상협 위원장은 “무공해차 전환과 함께,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철도·항공·해운·대중교통 분야의 탄소를 효율적으로 감축해야만 수송분야의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있다”며 “오늘의 콘퍼런스에서 제시되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활용한 정책들을 적극 개발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힐 예정이다.
환영사에서 국토교통부 강희업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장은 “교통분야의 탄소중립은 전 지구적인 과제로 이번 논의를 바탕으로 탄소저감과 함께 교통산업의 활력도 제고하는 다양한 정책을 발굴·추진할 필요가 있다고”고 밝힐 예정이다.
저작권자 © Q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