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0월 12일 유럽, 일본, 중국의 주요 바이오 데이터센터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국제협력을 통해 글로벌 수준의 디지털바이오 생태계 조성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범부처 바이오 데이터 공유 플랫폼인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을 구축하며 운영 중인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는 제32회 한국유전체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글로벌 바이오 데이터 리소스”를 주제로 심포지엄을 열었다.
이 심포지엄에는 국제염기서열정보협의체를 구성해 유전체 데이터 공유를 선도하는 유럽의 생물정보학연구소, 일본의 DNA데이터뱅크가 참여했다.
또한,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와 중국의 국립유전체데이터센터가 참석해 각 기관의 현황을 공유했다.
선진국들은 부가가치가 높은 바이오 데이터를 확보하고 활용하기 위해 글로벌 협력 체계를 구축해 노력해오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가생명연구자원 관리·활용 기본계획’과 디지털바이오 육성 전략을 수립하고 데이터기반 디지털바이오 연구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생산되는 바이오 연구데이터를 통합 수집해 품질관리 된 데이터가 활용될 수 있도록 2021년부터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을 구축하고 있으며 2022년 12월부터 본 운영에 착수했다.
그리고 관련 사업의 성과교류회도 함께 개최되어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 구축·운영 현황, 데이터 분야별 품질선도센터의 성과 및 데이터 분석 툴 개발 등 분석 서비스 지원 성과 등을 공유했다.
과기정통부 노경원 연구개발정책실장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며 바이오 데이터의 공유와 활용이 감염병 등 바이오 재난 대응을 위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하고 “오늘 해외 데이터센터들과의 심포지엄을 통해 우리나라가 글로벌 수준의 바이오 데이터 공유 생태계 구축을 위해 한 걸음 나아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히며 해외 데이터센터 관계자 및 국내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했다.
저작권자 © Q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