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뉴스] 행정안전부 정부청사관리본부와 산림청은 17일 ‘스마트한 업무공간 활용사업’ 에 선정된 ‘산림청 기획조정관실’에 스마트한 업무공간을 조성했다고 밝혔다.
산림청은 정부청사관리본부와 2022년부터 업무공간 개선을 통한 조직문화 및 일하는 방식 혁신방안을 지속적으로 협의해왔다.
산림청 직원들로 구성된 ‘스마트한 공간 조성 TF’를 운영해 외부전문가 및 내부 직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업무공간 조성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교육부, 조달청 등 정부기관 등을 답사해 산림청의 스마트한 업무공간 조성계획안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산림청의 기획조정관실은 칸막이 없는 협력과 소통의 장소로 재탄생했다.
먼저, 부서 간 칸막이를 없애고 직위에 관계없이 책상 크기를 최소화해 여유공간을 마련해 공유와 협업 공간으로 재설계했다.
국장실 및 회의실 중간에는 공간을 분리할 수 있도록 접이형 칸막이를 설치해 회의 유형에 따라 확장·분리가 가능하도록 공간 효율성을 높였다.
또한, 기획조정관실의 업무성격, 근무방식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해 개실형 회의실과 문서고를 조성했으며 특히 업무용 노트북인 온북을 시범도입해 자율좌석제, 집중근무실을 운영할 예정이다.
통합라운지와 영상회의실은 산림청 연구개발 성과물인 국산 리기다 및 낙엽송 합판으로 벽재를 마감하고 피톤치드 공기청정기 등을 설치해 산림청만의 특색있는 공간을 창출했다.
한편 정부청사관리본부는 2017년부터‘스마트한 업무공간 활용사업’을 통해 시대적·기술적 변화를 적용해 직장 내 일하는 방식과 조직문화를 개선하는 등 정부기관의 미래지향적 업무환경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까지 교육부, 통일부, 기재부, 조달청, 산림청 등 5개 기관을 선정해 업무공간 활용 시범사업을 추진했고 20여 개 기관에 대해서는 업무환경 개선을 위한 자문 등을 진행했다.
김정훈 정부청사관리본부 청사시설기획관은 “업무공간 혁신이 조직 구성원들의 의사소통, 직무 만족도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핵심요건” 이라며 “앞으로는 수요자 요구와 시대변화를 반영해 단순히 일하는 장소로써의 업무공간이 아니라 직원들 간의 소통과 협력, 휴식이 가능한 정부청사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Q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